안녕하세요 주엉입니다 ღ'ᴗ'ღ
![](https://blog.kakaocdn.net/dn/xaqZU/btrShAbucjT/TihlO8ZEw8kk2MYhkNDgs0/img.png)
저번시간에 Tension 기초에 대해 얘기해보았는데요~~
오늘은 Diatonic chord 각각의 Tension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tTY6W/btrShIN8Rvc/HcKWz04OnQieouOKM9kJK1/img.jpg)
지난 시간에 tension 구하는 방법에 대해 얘기했는데, 이 개념 그대로 Diatonic chord에 적용해보겠습니다.
C key기준으로 그려보았습니다 !
![](https://blog.kakaocdn.net/dn/FMJuz/btrSlEjC8RP/QO17363dgzIUtXqlyJpak0/img.jpg)
여기서 주의 해야 할 부분이 있습니다.
바로 IIm7 (Ckey 기준으로 Dm7) 인데요~~
원래 13도는 앞 chord tone과 비교했을때 장2도 관계로 tension 입니다.
하지만 예외적으로 불가능한데요, 그 이유는 위에 적혀있듯 b3과 13의 관계가 Tritone 이기 때문입니다!
* Tritone : 증4도 관계
지난번에 Diatonic function 에 대해 얘기했을때, V7 는 Dominant 기능을 하고, 그 기준이 불안정한 음 인
4음과 7음을 둘다 포함하기 때문이었습니다.
그 관계가 바로 증4도, Tritone인데요.
그게 IIm7에도 존재하게되면 Sub dominant의 기능이아닌, Dominant의 기능을 더 강하게 나타나기때문에
예외적으로 어울리지않는 음인 Avoid note로 분류하게되는겁니다!
또, IV M7 과 VIIm7b5 코드에서는
각각 가능한 tension들이 근음기준으로 음정관계를 정확하게 적어야하는데,
IVM7에서는 증11도 이므로 #11 ,
VIIm7b5 에서는 단13도이므로, b13 이라고 표기해주면 되겠습니다!
정리해보면,
![](https://blog.kakaocdn.net/dn/bCifrU/btrSlouxtfh/Mah0u6SFv7ywfvYIZO7BO1/img.jpg)
chord tone과 가능한 tension들을 함께 악기로 눌러보고 어울리는지 소리를 들어보시면 좋겠습니다!
Tension음을 사용함으로 코드를 더욱 풍성한 소리로 연출할수있으니 잘 알고 사용하면 되겠습니다!
'Jazz harmony'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 Cadence (종지) (0) | 2022.12.08 |
---|---|
11. 분석표기 방법 (0) | 2022.12.07 |
9. Tension (텐션) (0) | 2022.12.05 |
[Quiz] 4. Mode (선법) (0) | 2022.12.05 |
8. Mode (선법) (0) | 2022.12.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