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azz harmony

11. 분석표기 방법

by 김주엉 2022. 12. 7.

안녕하세요 주엉입니다 ღ'ᴗ'ღ

오늘은 화성학 분석 표기 방법에 대해 간단히 얘기해보려합니다.

아직 우리가 배우지 못한 부분에 있어서는 제외하고 얘기한것이니 참고해주세요 :)

1) V - I : 완전 5도 하행하는 경우 Arrow 표기를 해줍니다.

2) II - V : 코드 아래로 Bracket 표기

그래서 흔히 우리가 볼수있는 II V I 진행

이렇게 표기하면됩니다 :) 어렵지않죠?

3) V 에서 I 으로 해결되지않고 다른 Tonic function으로 해결되는 경우에는 V 에 괄호 표기를 해주면됩니다.

해결느낌은 나지만 5도로 강하게 하행하며 해결되는것은 아니기에 Arrow표기를 하지않는것입니다.

* 다음시간에 얘기할 Cadence에서 얘기하겠지만 Deceptive resolution이라고도 합니다.

V - III or V - VI

네이버 블로그에 악보 올려놓은 것들중 이곡의 코드 위에 도수를 적고 그에 따른 표기법을 한번 적어보길 바랍니다.

Diatonic chord 가 아마 다 일거에요 그럼 그 위에 어떤 Mode 를 쓰는지도 적어보고

음악공책에 scale로도 한번 그려서 복습해보는 시간도 가져보면좋겠습니다.

저 곡 뿐아니라 내가 평소에 좋아하는 곡의 악보를 구해서

그 곡의 코드진행을 적어보고 어떻게 구성이되어있는지 살펴보면,

나의 곡을 만들때에도 많은 도움이 될거라 생각합니다!

더 자세한 내용을 배우고싶다면 !!

https://open.kakao.com/o/skOWBqBc

'Jazz harmony'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 Scale (스케일의 종류)  (0) 2022.12.09
12. Cadence (종지)  (0) 2022.12.08
10. Tension_ Diatonic Tension  (0) 2022.12.06
9. Tension (텐션)  (0) 2022.12.05
[Quiz] 4. Mode (선법)  (0) 2022.12.0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