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주엉입니다 ღ'ᴗ'ღ
오늘은 Mode라는 주제를 들고 왔는데요.
![](https://blog.kakaocdn.net/dn/NR83z/btrR9W6Ug3i/jWUeR55YWJjnYiz1Y4Sls0/img.png)
Mode란 음계를 음정관계 ·으뜸음의 위치 ·음역 등에 따라 더욱 세분한 음열(音列) 및 그 개념으로
장조/단조 개념이 생겨나기 전에(고대~르네상스까지) 있었던 음악 입니다.
현대음악이 기반이 된 서양 음악 말고도 세계 다양한 문화권에서 보편적으로 발전한 음악 체계입니다.
한때는 서양 음악을 지배했으나 바흐 이후로 장단조 체계가 성립된 고전파 시대~20세기 이전까지 외면을 받다가
20세기 초반 들어 신고전주의 사조가 유행하면서 드뷔시와 라벨 등 프랑스 근대 작곡가들을 중심으로 선법의 리바이벌이 이루어지고 다시 현대 음악의 주류로 올라와 블루스를 시작으로 하여 재즈, 소울, 펑크(Funk) 등 흑인 음악에 이어, 락, 팝, 힙합 등에도 영향을 미쳐 비로소 장단조 체계만큼의 중요성이 커졌습니다.
우리 일상생활에서 듣는 음악 중에서 장조, 단조음악 같은데 분석해보고 뭔가 다른게 있다면 선법음악임을 의심해볼 수 있어요.
과거의 선법, 대위법 음악을 통폐합시키고 개발된 체계가 장단조 체계입니다.
크게 로마 제국 시절부터 사용되던 교회 선법과 16세기 중반 무렵 교회 선법을 기반으로 확립된 근대 선법, 그리고 현대 선법으로 나누어 진다.
Scale (음계) 은 한 옥타브 이내에서 음을 규칙에 따라 (온음5개,반음2개 관계를 가지고있는 규칙) 차례대로 나열한 것 이라고 보면되고,
Mode (선법) 는그 음계 안에서 으뜸음의 위치가 달라지고, 결국 음계의 개수 만큼 선법이 생겨나는겁니다. (총 7개)
C Major scale을 예시로 Mode의 종류를 살펴볼게요.
![](https://blog.kakaocdn.net/dn/KLUkF/btrR9uitmNW/t4TK8oDtll2yOHuDLhfSi0/img.png)
Major와 minor의 색깔을 Mode 안에서 구분지을수있는데요.
1도를 기준으로 3도가 장3도이냐 단3도이냐에 따라 구분이됩니다.
Major: Ionian, Lydian, Mixolydian
minor: Aeolian, Dorian, Phrygian, Locrian
* Ionian 은 위의 악보를 보면알겠지만 장음계인 Major scale이랑 동일합니다.
또한 Aeolian도 단음계에서 가장 기본인 Natural minor scale과 동일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QQcSC/btrSgaihQly/wMPX3K1rRoBkmKhc9yRuq0/img.png)
* 위 적혀있는 (근음 유지) 버젼으로 보시면
각 mode마다 붙여지는 임시표들이 눈에 더 확연히 보일거에요.
Ionian: (Major scale기준으로 임시표 x)
Dorian: b3, b7
Phrygian: b2,b3,b6,b7
Lydian: #4
Mixolydian: b7
Aeolian: b3,b6,b7
Locrian: b2,b3,b5,b6,b7
-> key 별로 계산하는방법과, 임시표로 계산하는방법 두가지를 잘섞어서 머리속에 잘 외워둔다면 계산하기 너무편리할거에요~!
(결국 둘다 알아야한다는 뜻^,~ )
그리고, 각 mode마다 특징음들이 하나씩 있는데요 !
Ionian: 네추럴 4도(Lydian 과 비교)
Dorian: 네추럴 6도 (Aeolian 과 비교)
Phrygian: b2도
Lydian : #4도
Mixolydian: b7도
Aeolian : b6도
Locrian: b5도
이처럼 Mode 에 대해 배워보았어요.
레슨할때 Major scale -> minor scale (3가지) -> Mode 이런순으로 scale연습시키고 있어요~
아무래도 손도 풀겸 터치도연습할겸 scale 에대해서 자연스럽게 외워질겸 숙제를 꼭 내주고있습니다.
여러분들도 열심히 연습해서 나중에 solo 할때도 작곡할때도 기본적으로 잘 사용되기를 바랍니다.
더많은게 궁금하다면 ?
![](https://blog.kakaocdn.net/dn/BBifS/btrSc9Ytg1g/TWv1yQVlAwrySpwlFF0d2k/img.png)
'Jazz harmony' 카테고리의 다른 글
9. Tension (텐션) (0) | 2022.12.05 |
---|---|
[Quiz] 4. Mode (선법) (0) | 2022.12.05 |
[Quiz] 3. Diatonic chord + Diatonic chord Function (0) | 2022.12.04 |
7. Diatonic chord Function (다이어토닉 코드의 기능) (0) | 2022.12.03 |
6. Diatonic chord (다이어토닉 코드) (2) | 2022.12.02 |
댓글